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요셉의 채색 옷: 형제의 시기, 하나님의 섭리 성경 창세기 37장에 등장하는 요셉의 채색 옷은 단순한 의복을 넘어, 가족 간의 갈등과 하나님의 계획을 상징하는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야곱은 열한 번째 아들 요셉을 특별히 사랑하여 "채색 옷"(히브리어: ketonet passim)을 입혔습니다. 이 옷은 당시 고대 근동에서 귀족이나 왕족이 입는 고급 의복이었으며, 일반 노동자들이 아닌 자들에게 입혀지는 옷이었습니다. 긴 소매와 다채로운 색상은 요셉이 형들과는 다른 지위를 가졌음을 나타냈고, 이는 결국 형들의 심한 시기와 분노를 불러일으켰습니다.이 이야기는 단순히 가족 간의 갈등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와 구속사의 한 장면입니다. 형들의 악한 행동조차 하나님께서는 선을 이루시는 계획 속에 사용하셨고, 요셉은 훗날 애굽의 총리가 되어 가족과 수많은 생.. 더보기 “예수님의 희생을 반복하는가? – 개혁주의 신학에서 본 미사의 신학적 오류” 개혁주의 신학은 로마 가톨릭의 미사(성찬례)를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반복하는 행위로 간주하며, 이는 성경이 가르치는 그리스도의 단번에 드린 희생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합니다. ---1. 개혁주의의 기본 입장: 그리스도의 단번에 드린 희생히브리서 9장 26절은 “이제 자기를 단번에 제물로 드려 죄를 없이 하시려고 세상 끝에 나타나셨느니라”고 말씀합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이 단 한 번으로 충분하며, 반복될 필요가 없음을 명확히 합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29장 2항은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 “주님의 만찬은 그리스도의 죽으심을 기념하는 것이며, 그분의 희생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개혁주의는 미사를 통해 그리스도의 희생이 반복된다는 개념을 성경적 가르침에 어긋나는 것으로 봅.. 더보기 그리스도의 삼중직(선지자,제사장,왕)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제23~26문에 대한 설명을 개역한글 성경에 맞춰 수정한 내용입니다. 모든 성경 인용은 개역한글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제23문: 그리스도는 무슨 직분을 행하시는가?답:그리스도는 선지자, 제사장, 왕의 직분을 행하시되, 낮아지시고 높아지신 두 상태에서 그 직분들을 수행하심으로 우리를 구속하십니다.▶ 성경적 근거 (개역한글):히브리서 1:1–2 – “옛적에 선지자들로 여러 부분과 여러 모양으로 우리 조상에게 말씀하신 하나님이 이 모든 날 마지막에는 아들로 우리에게 말씀하셨으니”히브리서 5:5–6 – “너는 내 아들이라 오늘날 내가 너를 낳았다… 너는 영원히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제사장이라”시편 2:6 – “내가 나의 왕을 내 거룩한 산 시온에 세웠다 하시리로다”---📖 .. 더보기 아브라함의 인생 전환기 – 믿음의 계승과 준비 하나님께서 이끄신 아브라함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그의 삶엔 몇 번의 전환점이 있었습니다. 오늘 묵상할 본문(창세기 22:20~25:11)에는 그가 백세에 얻은 이삭을 믿음으로 바치고, 아내 사라를 장사하며, 아들 이삭의 결혼을 준비하는 장면이 등장합니다.첫 번째 전환 – 이삭을 낳기 전과 후갈대아 우르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라 나선 아브라함은 오랜 세월을 기다린 끝에 이삭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 그의 신앙은 한층 더 깊어졌습니다. 모리아 산에서 이삭을 번제로 드릴 준비를 하면서 그는 믿음과 순종의 삶으로 나아갔고, 하나님의 약속이 진짜임을 삶으로 고백했습니다(창 22:1~19).두 번째 전환 – 사라의 장사와 매장지 매입사라가 죽은 후, 아브라함은 약속의 땅 헷 족속에게 값을 주고 땅을 삽니.. 더보기 하나님의 약속, 인간의 실수, 그리고 믿음의 순종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여정은 실수와 회복, 그리고 하나님의 변함없는 약속으로 이어집니다. 창세기 20장부터 22장은 그의 여정 가운데 하나님의 구속사가 어떻게 나타났는지 잘 보여줍니다.하나님의 약속은 인간의 실수를 초월합니다아브라함은 아비멜렉 앞에서 사라를 누이라고 속이며 또 한 번 실수를 반복합니다(창 20장). 하지만 하나님은 그 상황에서도 아브라함과 사라를 지키셨습니다. 그 이유는 단 하나, 하나님의 약속 때문입니다. 약속을 이루기 위해 하나님은 연약한 자를 끝까지 붙드셨습니다.이삭, 웃음의 회복하나님은 약속하신 대로 사라에게 아들을 주셨습니다. 사라는 “하나님이 나를 웃게 하셨다”고 고백합니다(창 21:6). 불가능해 보였던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능력이 드러났고, 이삭의 출생은 단순한 생명 탄생.. 더보기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제20~22문 문20. 하나님께서 모든 인류를 죄와 비참함 가운데 그냥 내버려두셨는가?답. 하나님께서는 영원 전부터 자기 뜻대로 정하셔서 어떤 사람들을 택하시고, 그들로 하여금 영생을 얻게 하시기 위하여 은혜의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그리스도를 구속자로 삼으시고, 죄와 비참한 상태에서 건져내어 구원의 자리로 인도하시기로 작정하셨습니다.(1) 엡 1:4-7, 딤후 1:9, 딛 1:2, 3:4-7(2) 롬 3:20-22, 딤전 1:14,15---문21.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의 구속자는 누구인가?답.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자들을 위한 유일한 구속자는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그분은 하나님의 영원하신 아들이시며, 사람이 되셔서 한 위에 신성과 인성을 가지셨습니다. 영원토록 하나님이시며, 사람이십니다.(1) 하나님의 영원하신 아들 .. 더보기 롯의 선택, 세속의 기준이 가져온 비극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믿음의 길을 시작했던 롯. 그는 아브라함과 함께 하나님의 언약을 바라보며 갈대아 우르를 떠났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세속의 기준에 따라 움직였습니다. 결국 그의 선택은 소돔이라는 도시로 향했고, 그 안에서 점차 신앙은 희미해지고 가치 판단 기준은 무너져갔습니다.신앙인의 길에서 벗어난 이유롯은 구원의 백성 중 한 명이었지만, 하나님의 뜻보다는 자신의 눈에 보기 좋은 곳을 택했습니다. 목축에 유리해 보이는 소돔 땅, 경제적 이익이 보이는 곳으로 향했지만, 그곳은 죄악이 관영한 땅이었습니다.그는 현실적인 안정과 풍요로움을 좇았지만, 그 대가는 신앙과 가족의 무너짐이었습니다.가정이 무너진 이유소돔에서 두 딸을 통해 자녀를 낳는 장면은 단순한 가족사를 넘어 신앙의 붕괴를 보여줍니다.롯의.. 더보기 무분별한 ‘아멘’ 사용, 정말 괜찮은가요? 예배 시간, 우리는 종종 “아멘”이라는 말을 자연스럽게 입에 올립니다. 그러나 이 단어의 본래 의미를 알지 못한 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경건함을 해칠 수 있습니다.‘아멘’은 단순한 구호가 아닙니다. 히브리어 어원에서 ‘진실하다, 확실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그대로 이루어지기를 원한다’는 강한 동의와 순종의 의지를 담고 있는 말입니다. 예배 중의 ‘아멘’은 곧 하나님 말씀에 대한 ‘나의 동의이자 결단’입니다.하지만 오늘날 많은 교회에서는 ‘아멘’이 감정적 반응이나 습관처럼 남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교 중간에, 혹은 전혀 본문과 관련 없는 구절에까지 “아멘”을 외치는 모습은 오히려 말씀의 깊이를 흐릴 수 있습니다.실제로 한 목회자는 “감정에 치우쳐 아멘하고, 실제로 책임지지 않으려 한.. 더보기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