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생활에서 ‘하나님을 안다’는 말은 너무도 자주 들리는 표현입니다.
그러나 개혁주의 신앙은 이 고백을 신학적 개념이 아니라 삶 전체를 바꾸는 진리로 이해합니다.
요한복음 17장 3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 “영생은 곧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가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니이다.”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단지 그분에 대해 지식적으로 아는 것을 넘어,
그분을 사랑하고, 순종하며, 경외하는 관계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
✅ 1.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관계의 시작입니다
개혁주의 전통은 하나님을 성경을 통해 알게 되는 분으로 정의합니다.
‘자연신론적 개념’이나 ‘인간의 경험’이 아니라, 하나님이 당신 자신을 계시하신 말씀 안에서 우리는 그분을 만납니다.
따라서 하나님을 아는 것은 곧 말씀 앞에 머무는 삶이고,
이 지식은 기도와 묵상 속에서 삶의 실제로 이어지게 됩니다.
---
✅ 2. 삶이 변화되는 이유는 하나님의 성품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아는 사람은 죄를 미워하게 됩니다.
하나님의 자비하심을 아는 사람은 다른 이에게 긍휼을 베풀게 됩니다.
하나님의 주권을 아는 사람은 환경을 통제하려 하지 않고 신뢰하게 됩니다.
이처럼 참된 신앙의 변화는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서 시작됩니다.
---
✅ 3. 지식은 예배로, 예배는 삶으로 연결됩니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머리에 머물지 않고 예배로 나타나야 합니다.
그리고 그 예배는 우리의 일상, 관계, 결정, 말과 행동 속에서 드러나게 됩니다.
개혁주의 신앙은 단순히 이론적 교리를 넘어서,
삶 전체가 하나님 앞에 놓여야 한다는 진리를 선포합니다.
---
🙏 묵상과 적용
나는 지금 어떤 방식으로 하나님을 알고 있는가?
그 지식은 내 기도와 예배,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하나님을 더 깊이 알기 위해 오늘 나는 무엇을 해야 할까?
---
🧘♀️ 실천 Tip – 무릎으로 드리는 기도, 집중을 위한 작은 도움
하나님을 아는 여정에서 기도는 가장 본질적인 길입니다.
그러나 오랜 시간 무릎으로 기도할 때 신체적 부담 때문에 집중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때, 무릎을 보호하고 편안한 자세로 기도할 수 있도록 돕는 기도방석을 추천드립니다.
경건한 시간에 신체적 안정감까지 더해주어 깊은 집중을 도와줍니다.
👉 추천 제품 보러 가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025.07.18-“말씀 안에서 자라는 은혜의 통로 – 소요리문답 91~97문 묵상”
“말씀 안에서 자라는 은혜의 통로 – 소요리문답 91~97문 묵상”
신앙 생활의 가장 중요한 질문 중 하나는 “은혜는 어디에서 오는가?”입니다.소요리문답 91문~97문은 은혜가 우리에게 도달하는 하나님의 선한 도구들, 즉 **‘은혜의 수단’**을 설명하며, 특히
lifepick.org
2025.07.18-“십계명을 다 지킬 수 있을까? – 소요리문답 82~84문 묵상”
“십계명을 다 지킬 수 있을까? – 소요리문답 82~84문 묵상”
십계명을 하나하나 묵상하면서 많은 성도들은 이런 질문을 하게 됩니다.“이걸 어떻게 다 지켜요?”그 질문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 질문이 복음을 향한 문을 엽니다.소요리문답 82~84
lifepick.org
2025.07.18-“하나님을 어떻게 예배하고, 어떻게 부를 것인가 – 소요리문답 52~56문 묵상”
“하나님을 어떻게 예배하고, 어떻게 부를 것인가 – 소요리문답 52~56문 묵상”
우리는 하나님을 예배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 예배를 어떻게 받기를 원하실까요?또 우리는 하나님의 이름을 매일 부르지만, 그 이름을 얼마나 두려움과 존중으로 대하고 있을까요?웨스트민
lifepick.org
2025.06.08-“175세에 죽은 아브라함, 그의 인생은 정말 길었을까?”
“175세에 죽은 아브라함, 그의 인생은 정말 길었을까?”
성경 창세기 25장 7~8절은 아브라함의 마지막을 이렇게 기록합니다:“아브라함의 향년이 일백칠십오 세라. 그의 나이가 높고 늙어서 기운이 다하여 죽어 자기 열조에게로 돌아가매”(개역한글)
lifepick.org
2025.04.29-"주여 삼창"은 무엇인가요? – 소리보다 중요한 것
"주여 삼창"은 무엇인가요? – 소리보다 중요한 것
한국 교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독특한 문화 중 하나가 바로 '주여 삼창'입니다.기도회를 시작할 때, 예배 중간에, 때로는 집회에서 힘차게 세 번 '주여!'를 외치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됩니다. 이
lifepick.org
'신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씀으로 사는 사람 – 성경이 삶에 실제가 되기까지” (0) | 2025.07.30 |
---|---|
“구원은 전적인 은혜입니다 – 내가 아닌 하나님의 손에 달렸습니다” (0) | 2025.07.30 |
“고난 중에도 주권을 붙드는 신앙: 욥기에서 배우는 믿음의 깊이” (1) | 2025.06.17 |
“열두 아들, 한 민족: 야곱의 가족 안에 숨겨진 구속사의 그림” (0) | 2025.06.15 |
“예수님의 희생을 반복하는가? – 개혁주의 신학에서 본 미사의 신학적 오류” (5) | 2025.06.04 |
무분별한 ‘아멘’ 사용, 정말 괜찮은가요? (0) | 2025.05.18 |
전적 타락(Total Depravity) – 인간의 전적인 부패 (0) | 2025.04.29 |
"주여 삼창"은 무엇인가요? – 소리보다 중요한 것 (0) | 2025.04.29 |